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실/일일특징주

6-27 국제시황 뉴스

by 삶에 대한연구 2020. 6. 27.
728x90

요약
2차코로나재확산에 따른.증시하락압박
그로인해 온라인 관련주급부상.(택배물류증가)
환경.사회.지배.ESG기업투자급증<착한기업투자>

코로나 백신.치료제개발주 단기이슈재료주목.
코로나 확진자가멈추질않음. 검사건수가늘어날수럭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진단키트주 실적은증가하겟지만..경쟁이심화될전망 코로나종식이후엔 하락은나오겟지만
바이러스 주기적으로 발생될가능성이높으니
하락시 관심있게 볼필요있음






#. 06/25(목) ~ 06/26(금): 중국 본토 증시 휴장(단오절)

Korea Market

1. 코로나19 2차 팬데믹 우려로 인한 하락, 거래소 -2.27%, 코스닥 -1.20%

- 미국 일별 신규 확진자가 3만6천 명을 넘어서며 2차 팬데믹 우려 증폭.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주의 일부 지역 방문자들에게 2주 간 자가격리 요구로 경제 반등 속도 둔화 예상

- 정부의 2023년부터 소액투자자 양도세 부과 및 증권거래세 하향 발표. 금융세제 개편안에 대한 부정적 영향 예상으로 증권업종 하락

- 산업융합 규제 특례심의위원회에서 재외국민 비대면 진료를 임시 허용하기로 의결, 관련주(나노엔텍,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등)의 상승

2.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관찰 필요

- WHO의 차주 확진자 1,000만 명, 사망자 50만 명 예상 등 2차 팬데믹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 국내 일별 확진자 역시 지속적으로 50명 이상일 경우 정부의 방역 조치 변화가 생길 수 있음

- 장 마감 후 예정된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 연설에서 유럽 통화정책과 경기 회복에 대한 시각을 주목

USA Market

1. 은행 규제 완화, S&P 500 +1.1%, 다우 +1.18%, 나스닥 +1.09% 상승을 기록

- 통화감독청(OCC)이 볼커룰 완화 개정안을 승인, 위험자산에 대한 은행의 대규모 투자를 유도. 4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유동성 발생 추정. 중앙은행(Fed)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동의 필요

- CDC가 미국 실질 확진자 수가 현재보다 10배 많을 수 있다고 공식 발언. 텍사스주는 추가 경제 재개 중단.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48만 건 기록

- WTI는 근원 5월 내구재 수주가 MoM 15.8% 증가를 기록하며 전일 대비 1.87% 상승한 배럴당 38.72달러게 마감. 달러인덱스는 97.35, 10년물과 2년물은 각각 0.67%, 0.16%를 기록

2. 유틸리티 제외 전 섹터 상승, 금융과 에너지 섹터 강세

- 볼커룰과 파생상품 거래 시 적용되던 증거금 적립 규제 완화 등 호재로 금융 섹터 2.71% 상승

- 6월 세계 대도시 차량 통행량 지난해 수준 회복, 미국 내구재 수주 지표 호조. 에너지 섹터 1.92% 상승

- Walt Disney, 디즈니랜드 재개장이 무기한 연기. Apple, 플로리다 지역의 매장 14곳 추가로 폐쇄

- IT +1.30%, 소재 +1.30%, 산업재 +1.11%, 부동산 +1.08%, 헬스케어 +1.03%, 필수소비재 +0.74%, 커뮤니케이션 +0.58%, 자유소비재 +0.31%, 유틸리티 -1.22% 기록

미국 증시는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세에 하락 마감하였음. 전일 텍사스주의 단계적 경제재개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으며, 플로리다주도 펍 영업을 제한시켰다고 밝힘. 연준은 전일 금융권 스트레스 테스트를 이행한 결과 자본규정이 불안하거나 이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밝히면서 금융섹터가 약세로 마감하였음. 커뮤니케이션 섹터 중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급락하였는데, 평소 인종차별 증오 확산과 폭력적 게시물 방치 사유로 유니레버, 버라이즌, 파타고니아 등의 주요기업들이 광고 계약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 장 중 -8% 이상 하락하였음.

China Market

#. 중국/홍콩 증시 휴장 (단오절)

중국 주요 이슈:

완공 당시부터 안전성 논란이 존재했던 삼협댐의 붕괴 가능성이 재차 부상

- 삼협댐의 변형이 일어난 것에 대한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중국 중서부 지역 기록적인 폭우로 삼협댐 수위가 높아지며 위기론 고조. 삼협댐 붕괴가 현실화될 경우 장강 범람에 따른 인근 지역 침수 및 하류 지역인 저장성, 상해 지역까지 영향 받을 수 있는 가능성 존재. 또한, 복구비용, 대출 확대에 따른 통화량 증가로 인플레 가능성 제기되며 장강 하류에 있는 원자력발전소 피해 가능성도 부상. 장강전력(600900.SH)은 삼협댐의 운영사로 붕괴 현실화 시 직접적인 타격 불가피할 전망

미 상원, 중국 제재 '홍콩자치법' 만장일치 통과

- 중국 '홍콩보안법'이 오는 30일 전인대 통과 즉시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 상원은 중국 제재 '홍콩자치법'을 만장일치로 가결. 해당 법안은 홍콩 자치권 침해에 연루된 중국 관료와 홍콩 경찰 등 제재, 이들과 거래한 은행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 등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하원 표결을 거쳐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 후 정식 발효 예정




유안타와 함께하는 미리보는 내일(06/27)뉴스

→ 부동산 투자심리 뜨겁다…집값 전망 21개월來 최대상승
6월 소비자동향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603671
 
 
→ IMF의 경고 "금융시장, 실물과 따로 논다…조정 위험"
美 나스닥 코로나로 폭락 불구
연준 돈풀자 최고가까지 경신
실물경제는 여전히 침체일로
IMF 올 성장 -4.9%로 낮춰
작은 충격에도 하락 가능성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603613
 
 
→ "기관의 투자 패러다임 바뀐다…비대면 기술·ESG 비중 높일 것"
연기금·국부펀드 세션
초저금리 고착화에 수익성 타격
감염병 대응분야 투자 영역 부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368842
 
 
→ 美 Fed "은행들, 자사주 사지 말고 배당금 제한하라"
코로나發 장기 경기침체 대비
"최악 위기 땐 7000억弗 손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368858
 
 
→ '코로나 봉쇄' 뚫고…나이키, 온라인 질주
봉쇄 한창이던 3~5월 성적보니
매출 38% 급감하며 적자전환
경제 열린 中 '보복소비' 덕에
온라인 매출은 75% 폭증
주가도 3월말 대비 60% 뛰어
"3년내 온라인 비중 50% 목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368802
 
(6월 26일) 주요뉴스 - 글로벌투자정보센터

CDC국장 "美 코로나19 감염자, 통계 보다 10배 많은 듯"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626_0001073610&cID=10101&pID=10100
- "확진자 1명 당 10명 더 있을 듯"...최소 2300만명 추정
- "미국 인구 약 5~8%가 코로나19에 노출된 듯"

WHO "다음주 확진자 1000만-사망자 50만 돌파할 것"
https://www.news1.kr/articles/?3977163
- "공정하고 청정한 뉴노멀 환경 만들어야"
- "중국 대처 잘못했다고 비난할 수 없어"

얼어붙은 세계 車시장 해동 국면…하반기 기대↑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625_0001073142&cID=13001&pID=13000
- 주요 자동차 생산국 공장 97% 가동 중‥최저점 찍었던 판매수요 차차 회복 돼
- 각국 신차 보조금 등 경기부양책 시행
- KAMA "하반기 자동차 판매 회복 예상"
- 증권가 "현대차그룹, EV 경쟁력에 주목"

"제주로 부산으로"…코로나 유탄 맞았던 기름소비 5월에 '급증'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5175800003?input=1195m
- 국내 기름 소비량 일제히 증가…항공유는 4월보다 150% 늘어
- 해외 못가니 국내에서…거리두기 완화·연휴·나들이철 맞물려

100달러대 철광석 가격…근심 깊어지는 철강사
https://www.news1.kr/articles/?3976861
- 철광석 가격 10개월만에 100달러대 돌파
- 전방산업 자동차, 조선, 건설도 코로나로 회복 더뎌

IMF, 실물경기 받침 안된 증시 급등 우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62605521884013
- 증시 추락시 경기회복 지연 경고 "실제 가치보다 시장가치 부풀려져"

안 오르는 유가, 혈압오른 DLS…올 만기 400억 반토막 위기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62517382751557
- 대부분 조기상환 실패…만기평가가 '관건'
- 어디가 제일 많이 팔았을까

코로나 버티려 보험 깬다‥3개월만에 7조 넘게 해약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26726625805656&mediaCodeNo=257&OutLnkChk=Y
- 작년보다 13.7% 늘어..'생계비 마련, 월보험료 부담'
- 생보협, “해지는 무조건 손해, 납입유예 등 유지제도 활용 필요"

경기회복 기대감에 구리값 급등…ETP 수익률도 '쑥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74246625805656&mediaCodeNo=257&OutLnkChk=Y
- 한달 사이 10% 오른 ‘닥터 코퍼’
- ETF·ETN 수익률도 들썩…3월 이후 30%
- “하반기 공급 개선시 공급 우위 고려해야”

6·17대책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 소폭 둔화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0997.html
- 규제 비껴간 지역선 ‘풍선효과’

MSCI 회장 "美·中 갈등, '신냉전'으로 번지지는 않을 것"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95126625805328&mediaCodeNo=257&OutLnkChk=Y
- 세계경제연구원-하나은행 국제컨퍼런스 25일 개최
- 헨리 페르난데즈 MSCI 회장 특별 연설 담화 영상

IPO 흥행 노리는 카카오게임즈, 하반기 '띵작'으로 국내외 시장 공략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62514365154776
- ‘엘리온’, ‘가디언 테일즈’ 등 자체 IP 연내 출격

새로운 세금, 금융투자소득세가 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62517344662675
- “손실나는 곳에는 세금 부과하지 않겠다”
- 복잡한 금융투자 과세를 하나로
- 금융회사가 매달 원천징수해 세무서에 납부

미 상원, 中 제재 ‘홍콩자치법’ 만장일치 통과
https://www.sedaily.com/NewsView/1Z46DQZNUE
- 홍콩 자치권 침해 개인·기업에 제재 부과



● tRadar 뉴스 데스크 채널
https://t.me/tRadarnewsdesk
유안타텔레그램펌.

728x90

'주식분석실 > 일일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9오늘특징주  (0) 2020.06.29
6-29 뉴스시황  (0) 2020.06.29
6.25 세계시황&국내  (0) 2020.06.26
6-24일특징주  (0) 2020.06.24
6.23 특징주  (0)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