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이 가져오는 변화
장초반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우려로 급락 출발. 그러나 지표 호전과 연준위원들의 발언,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연준이 회사채 매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상승폭 확대. 한편, 언택트 관련주 및 경기 민감주 중 구조조정 등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군 위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종목 차별화가 특징. 이른 경제 재개로 플로리다, 애리조나를 비롯한 20여개 주에서 코로나 재 확산. 이는 소비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경기 회복세가 지연될 수 있다는 점이 부담.
1. 미국섹터 ETF, 헬스케어와 IT로 자금 유입
3월 이후 미국섹터주식 ETF 중에서는, 헬스케어와 IT, 커뮤니케이션 섹터로 자금 유입. 특히 IT 섹터와 커뮤니케이션 섹터는 2월 이후 자금 유입 규모 증가
부동산섹터와 금융섹터는 경기 둔화에 따른 우려감으로 자금 유출
2. 미국주식펀드 안에서 IT와 헬스케어 비중 증가
미국 주식 펀드 안에서도 업종의 비중 빠르게 변화
IT와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업종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식펀드 안에서 비중 증가
은행과 부동산 등은 미국주식 펀드 안에서 비중 축소
3. 로봇, 자동화, 연결, 인공지능, 빅데이타 등을 담은 테마펀드
2015년 이후 글로벌 펀드 시장에서 섹터펀드보다 투자 범위가 좁은 테마펀드의 운용규모 빠르게 증가
투자 테마 중에서는 로봇과 자동화(Robotics,Automation)의 운용 규모가 가장 크며, 그 뒤를 이어 지원관리(Resource Management)와 연결성(Connectivity) 등이 운용되고 있음. 메가트렌드, 혁신 기술 등으로 변화를 아우르는 테마펀드도 관심을 많이 받음
=============================================
< 미국증시 >
미국 증시는 아시아 증시 때부터 이어진 코로나바이러스 2차 재확산 우려에 하락 출발 하였음. 중국의 베이징은 코로나 재 확산과 인근도시 봉쇄 이슈가 있었으며, 더불어 미국은 각 주의 감염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증시는 하락세가 나타났었음. 그러나 연준은 월요일 Secondary Market Corporate Credit Facility 를 통해 회사채 매입을 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상승 마감하였으며, BlackRock IShares 회사채 ETF는 1.9% 이상 상승하였음.
< 주요 경제지표 [예상치, 실제치] >
- 캐나다 4월 제조업판매 [-20.0%, -28.5%]
- 미국 6월 뉴욕 제조업 판매 [-29.6, -0.2]
캐나다 제조업판매는 전월치 -9.2% 예상치 -20.0% 였으나, 발표치는 -28.5% 로 대폭 하회로 발표하였으며, 미국의 6월 제조업 판매의 경우 예상치 -29.6 실제치 -0.2 포인트로 대폭 상회로 발표하였음. 뉴욕주는 최근 전월 및 예상치는 도시봉쇄에 따른 낙폭이 컸었으나, 경제재개에 따라
< 원유 >
유가는 코로나바이러스 2차 재확산 우려에 나타나면서 약세로 나타났으나, 아랍 에밀레이트 에너지 장관은 중국과 인도, 유럽에서 수요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상승 마감하였음.
< 통화 >
달러화는 캐나다의 제조업 판매 하회, 미국의 제조업 판매가 예상치 상회로 발표하였으나, 위험자산 선호로 증시 상승과 달러는 약세로 마감하였음.
<VIX>
변동성지수는 34.73 으로 -3.91% 하락함.
< 유럽증시 >
유럽 증시는 코로나바이러스 2차 재확산 우려에 대폭 하락 마감하였음.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베이징은 최근 나흘 동안 80명 수준의 재확산이 나타났으며, 나아가 베이징은 인근 도시를 봉쇄를 하면서 약세로 나타났음. 하락한 섹터로는 기초자원 및 에너지 섹터로 BP는 장기적인 유가 추정치를 반영하게 되면서 손상발생이 기존 130억 달러에서 175억 달러로 변경하였다고 밝히면서 하락
-----------------------------
개인은 12,372억원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7,616억원, 4,786억원 순매도를 기록. 프로그램 매매에서 차익거래는+143억원, 비차익거래는 +183억원을 기록해 총 326억원 순매수를 기록.
• 전일 한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코로나 재 확산 우려가 부각되며 급락. 이는 향후 경기 회복지연에 따른 기업이익 악화 가능성을 자극해 외국인의 대규모 매물을 야기시키는 등 수급적인 부담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줌. 이러한 요인으로 미 증시 또한 급락 출발했으나 지역 연은총재들이 적극적인 연준과 정부의 대응을 시사하고, 연준 또한 회사채 매입을 발표하자 미 증시가 상승 전환에 성공. 결국 연준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의 지속적인 유동성 공급 기대는 시장에 우호적인 영향을 줬다는 점에서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 한편, 오늘 저녁 파월 연준의장의 의회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한국 증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특히 파월 의장은 미국 기업들의 파산 위험을 주장해 왔고, 연준이 의회에 제출한 통화정책 보고서 안에도 가계와 기업들의 파산 위험 언급한 점, S&P 의 “미국 은행 중 1/3 이 신용등급에 취약하다” 라는 주장 등은 한국 증시에 부담. 이러한 변화 요인을 감안 한국 증시는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나 파월 의장의 연설을 기다리며 상승은 제한 될것으로 예상. 특히 미 증시가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기업들이 연준의 발표로 한때 상승했으나 여전히 매물 출회되며 재차 하락하는 등 펀더맨탈에 주목한 점을 감안 한국 증시에서 실적 개선 기대가 높은 종목 위주로 반등이 예상.
정부, 종부세법 개정안 원안대로 9월 제출(경향신문) 정부는 9월 종부세법 개정안 등 지난 12.16 부동산 대책 후속 법안을 올해 세법개정안에 포함하여 기존안대로 제출할 방침 관건이던 1주택자 종부세 완화안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양도세 인상관련 세법 개정안 역시 지난해 제출한 원안을 유지할것으로 전망됨 https://vo.la/byPk -
목동 11단지도 재건축 정밀 안전진단 통과(한국경제) 목동 11단지는 정밀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으며 재건축 진행이 가능하게 됨 목동은 현재 6단지, 11단지가 안전진단을 통과하였으며, 13단지, 14단지, 1단기, 7단지 등이 결과를 기다리고 있음 http://naver.me/GpPCpt6P -
'강남 재건축 잠룡' 송파 올림픽선수촌, 정밀안전진단 재도전(뉴스1) 올림픽선수촌아파트 단지가 재건축 간담회를 통해 정밀안전진단 재추진을 공식화함 해당 아파트는 작년 정밀안전진단에서 C등급을 부여받으면서 재건축 진행이 불가능하였으나, 올해 마포 성산시영, 목동6단지 등 D등급을 받으며 올해 재도전할 계획 https://vo.la/7kLW -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또 내린다…'기준' 5월 코픽스 0.14%p ↓(연합뉴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06%로 4월보다 0.14%p 하락하였으며, 잔액기준 코픽스도 4월 1.61%에서 5월 1.55%로 하락하며 내림세를 유지함 https://vo.la/xej2 -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수요예측 87대 1…공모가 5천원(연합뉴스)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가 기관 투자자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87.0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함 http://naver.me/FQhVFQmB -
사우디 아람코, 석유화학 사빅 인수완료(글로벌이코노믹) 사우디 아람코가 700억 달러 규모의 사빅주식을 매입하여 사빅인수를 완료함 http://me2.do/FrL7Xf4q -
대림산업, 미국 석화단지 부지 정리…"사업 추진 의지"(The Guru) 대림산업과 PTTGC아메리카는 미국 오하이오주 석유화학단지 부지에 있는 빈 건축물을 철거하며, 투자 결정은 연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를 보임 https://vo.la/ovS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건설
'주식분석실 > 일일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7일 특징주 (0) | 2020.06.17 |
---|---|
6.17 증시시황 (0) | 2020.06.17 |
핫뉴스 요약 -6.15일 (0) | 2020.06.15 |
일일 특징주-6.15 (0) | 2020.06.15 |
6월12미국증시마감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