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Market
- 개인 매수세로 하락 폭 만회, 거래소 -2.04%, 코스닥 -1.45%
- 미 증시 하락에도 불구, 주요 아시아 증시는 상대적으로 선방하며 전일 하락에 2차 팬더믹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이로 인해 국내증시 역시 급락 출발하였으나 개인 저가 매수 유입되며 낙폭 회복
- 지수 낙폭 회복에 주요 제약∙바이오 업종, 언택트 테마가 강세. 셀트리온은 일본 다케다 제약의 아시아 판권을 인수하며 종합 제약사로 변화를 예고, 시장 반등을 주도
- 유동성에 기댄 경제 재개 기대감 vs 실물 경기
- 전일 미 증시에서 경제 재개 기대감으로 시장 반등이 있었지만 2차 팬더믹 우려 하락 시 달러∙유가∙채권 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 추세가 약화. 금주 파월 연준의장의 코멘트, BOJ∙BOE 이벤트 등이 위험자산 선호 추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중 베이징의 경로 미 확인 감염자 출현, 한국 수도권 위주 감염자 증가, 미국 22개 주에서 신규 확진자 수 증가세 등 코로나19 진정세를 보였던 국가에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 기계업종의 강세(최근 2개월 연속 굴삭기 판매 60% 급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국 5월 산업생산 금일 발표 예정
USA Market
- 다우, S&P500, 나스닥 각각 1.90%, 1.31%, 1.01% 상승
- 플로리다의 신규 확진자 1,000명 넘게 발생 등, 선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 재확산 우려에도 美 경제 재봉쇄 가능성 낮은 상황. 경제지표인 6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예비치 78.9로 전월 72.3 상회. 소비회복 가능성 시사. 美 5월 수입물가도 전월대비 1.0% 상승, 예상치인 0.7% 상승을 웃돔. 국제유가인 WTI 배럴당 0.22% 하락한 36.26달러 기록. 금값 하락. 美 10년물 국채금리 0.71%, 전일 0.66% 대비 상승
- S&P500 섹터 11개 중 9개 상승. 금융, 부동산, 에너지 등 순으로 상승 vs 필수소비재, 유틸리티만 하락
- FAANG종목 중 아마존, 넷플릭스 외 소폭 상승, MS도 0.79%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45% 급등. 국채금리 상승에 금융주인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약 2~3% 상승. 개별종목별로 전기차주인 테슬라 차익매물 실현, 목표주가 하향조정 등으로 3.86% 하락. 항공기 제조사 보잉도 11.48%, 기타 항공주도 10% 이상 급등
China Market
- 상해 증시 -0.04%, 심천 증시 +0.07%, Chinext +0.51%
- 상해종합지수, 미 증시 하방 압력 속 하락 출발했지만 오후장 들어 낙폭 만회하며 약보합 마감
- 중국 면세 굴기 본격화로 북경왕부정백화(600859.SH)의 시내면세점 사업운영 허가권 발부, 하이난 면세점(섬면세점) 면세한도 확대 등 호재로 중국국제여행(601888.SH) 등 면세점 관련주 상한가 마감
- 한편, 베이징 최대 농수산물 도매시장 중심으로 확진자 속출하며 재확산 우려 부상. 6월14일 7시까지 4일간 총 51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전원 농수산시장 관련자. 그 중, 최초 확진자는 6월4일부터 일부 관련 증상이 발현
- CNN,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금주 초 하와이 히컴 공군기지서 중국측 고위급 인사와의 협의를 통해 양국 간 갈등 해소를 모색할 예정이라 보도
- 주간 외국인자금은 49.15 위안 순유입 (후강퉁 +1.78억 위안, 선강퉁 +47.38억 위안)
- 이번주 中증시 주요일정
- 6/15 : 5월 산업생산 증가율 (전망치: 4.9% / 이전치: 3.9%)
- 6/15 : 5월 고정자산투자 YTD 증가율 (전망치: -6.3% / 이전치: -10.3%)
- 6/15 : 5월 소매판매액 증가율 (전망치: -1.4% / 이전치: -7.5%)
셀트리온이 주도하면서 폭락중
유안타 텔레그램펌.
→ 9월에 재개될 공매도…하반기 증시 변수 가능성
증시 머니무브 막는 걸림돌
레버리지펀드 투자자 사전교육
주식 3억이상 양도세강화 악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595771
→ 투기판 된 청약…서울아파트 99대1
올해 청약경쟁률 사상최고…수도권도 40대1로 급등
잇단 규제에 청약시장 왜곡…무주택자들 `한탕` 몰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595758
→ 2분기 실적 전망치 하향 멈췄다…조정장에서 '버팀목' 되나
코스피·코스닥 207개 종목
2분기 영업익 전망치 23조
지난달보다 소폭 늘어나
역시 언택트·소비재 등 선전
기업 실적 바닥 확인 가능성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360771
→ 되살아나는 中 경제…5월 산업생산 4.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1&sid2=262&oid=009&aid=0004595786
→ 美 경제 “V자형” 회복론 고개 들어, 소비 살면 급반등 가능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1&sid2=262&oid=014&aid=0004443626
★[실시간 유럽증시] - 19:10 기준
→STOXX600: 351.57, -0.70%
→독일: 11823.72, -1.05%
→영국: 6041.98, -1.04%
→프랑스: 4796.60, -0.88%
★[실시간 주요선물] - 19:10 기준
-> 원유 7월물: 35.61, -1.79%
-> 골드 8월물: 1717.10, -1.16%
★ Search 3.6.9 종목
→거래소 세력 금액/시총 동시 매수종목 :대상
→코스닥 세력 금액/시총 동시 매수종목 : -
★ 코스피 기관/외국인 매매동향
→기관순매수 :삼성물산,LG전자,CJ제일제당,농심,하이트진로,롯데칠성,엔씨소프트,대상,더블유게임즈,포스코케미칼
→기관순매도 :삼성전자,SK,삼성SDI,현대차,현대모비스,SK하이닉스,SK이노베이션,LG화학,셀트리온,S-Oil
→외국인순매수 :삼성SDI,삼성전기,일진머티리얼즈,KB금융,한화에어로스페이스,LG디스플레이,삼성중공업,하이트진로,LG화학,삼성에스디에스
→외국인순매도 :삼성전자,삼성바이오로직스,NAVER,현대모비스,SK,SK하이닉스신한지주,SK텔레콤,한국전력,고려아연
[
● 반도체/전기전자 이재윤(02-3770-5727)
"닌텐도 독주 막자"… 7년만에 콘솔게임기 내놓는 소니·MS
- 14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연말께 차세대 콘솔 게임기인 'PS5'와 '시리즈X'를 각각 내놓을 예정
- 국내 콘솔게임 시장규모는 2016년 2,627억원에서 2018년 5,285억원으로 3년새 두배이상 성장. 작년은 60조원으로 파악
- link: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604190
5월 ICT 수출, 코로나19 해법 찾았다…반도체 ‘반등’
- 5월 ICT수출 반등조짐. 2개월 연속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역성장했지만 하락폭은 감소
- 반도체는 플러스로 돌아섰고, 중국과 미국수출 회복. 메모리반도체는 57.8억달러, 시스템반도체는 19.4억달러. 각각 전년동월대비 9.8%와 5.3% 증가. 서버 PC가 메모리반도체를 견인하고, 파운드리와 팹리스가 시스템반도체 호조를 이끌었음
- link: https://naver.me/G0OltK0T
화면 30% 이상 커진 '갤럭시폴드2' 나온다
-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8월 5일께 온라인으로 ‘갤럭시 언팩’ 행사를 열어 하반기 신제품을 공개 예정
- link: https://naver.me/5qtamGZr
● 디스플레이 김광진(02-3770-5594)
애플, 아이폰12 부품 주문량 20% 확대…역대급 흥행 노린다
- 애플은 올 하반기 출시할 아이폰12 부품 주문량을 기존 계획보다 20% 이상 확대. 스펙 상향에도 고가 전략 버리고 출시 모델 늘려 출하량 증가에 초점
- 삼성디스플레이의 아이폰 신제품 주문량도5월까지는 8,200만대 수준이었으나 6월 들어 8,500만 대 수준까지 상향된 뒤 최근에는 9,000만대 이상까지 상향된 것으로 파악
- link : https://bit.ly/3cYoaEJ
삼성도 편광판 매각 적기인데..."QLED가 사실 LCD TV라서"
- LG그룹이 조단위 편광판 사업 매각에 성공하면서 그룹 차원 탈(脫) LCD 전차를 사실상 마무리
- LG화학의 매각으로 중국 업체들의 수요를 확인한만큼 삼성이 편광판 매각에 돌입하기엔 시점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평가
- link : https://bit.ly/2MVAYkn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19년 2분기 3.5$ → 2020년 1분기 1.3$ → 4월 △0.8$/배럴 → 5월 4주 △1.1$/배럴 → 6월 1주 △1.6$/배럴 → 6월 12일 △0.47$/배럴 (과거 평균 5.8$, 손익분기점 4.5$)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6월 12일)
- 상승폭 大: 에틸렌옥사이드 +2.78%, 폴리아미드FDY +1.52%, 아세트산 +0.75%, 하락폭 大: MTBE △3.32%, 가솔린 △1.38%, 디젤 △1.32%
(계통한계가격 가중평균치)
- (직전주 6월 1주) 67.4원/kWh, (6월 2주) 71.9원/kWh
● 철강/금속 이현수(02-3770-5718)
철스크랩 가격 폭등에 제강사 감산 이익 ´소멸´
- 철 스크랩 가격은 지난 8주간 6만 5,000원 가량 올랐지만 철근 유통가격은 64만 원에서 63만 5,000원으로 소폭 하락. 철 스크랩 가격 상승으로 롤마진이 4월 둘째 주 38만 원에서 31만 원으로 축소
- 철근과 철 스크랩간의 가격 차액인 롤 마진이 톤당 31만 원으로 축소되면서 지난해 평균 롤마진인 30만 6,000원에 바짝 근접. 사실상 3월 이후 감산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이 철 스크랩 가격 폭등으로 모두 소멸
- https://bit.ly/2Y1nKsQ
5월 포스코 냉연도금재 80만톤 ‘턱걸이’
- 포스코의 5월 냉연도금 판재류 판매량은 총 80만 8,000톤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7%(34만 2,000톤) 감소한 것으로 파악
- 내수는 yoy -23%, 수출은 yoy -35% 감소했으며 4월 판매량(82.1만톤)보다도 5월 판매량이 감소
- https://bit.ly/3e3foGK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정부, 대출 강화·조정지역 확대 등 추가 부동산 규제 ‘저울질’
-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 대비 0.02% 오르며 지난 3월 이후 10주 만에 상승 전환하는 등 최근 시장 흐름을 주시하며 추가 대책 발표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 현행 담보인정비율(LTV) 기준 강화, 최근 집값이 급등한 수도권 지역의 조정대상지역에 포함 및 조정대상지역의 투기지역 상향과 함께 '갭투자' 방지책 포함 등이 거론
- 국토부 관계자는 다만 “6월 말 종료되는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 기간 연장 방안은 논의되고 있지 않다”며 “중과 배제로 주택 매물이 많이 나오진 않았다고 본다”고 밝혀
- link: https://bit.ly/2MWQI6P
‘무기한 계약갱신' 법안 논란 가열… 법조계선 "위헌 소지 있다" 지적 잇따라
- 국회에서 세입자 권익을 강화하는 ‘임대차 3법’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세입자가 원하면 무기한으로 임대차 계약을 갱신해주어야 한다는 법안까지 나오면서 반발이 커져, 시장에서는 ‘전세 알박기’라는 용어가 새로 등장
- 소유권 측면에서는 세입자가 평생 거주를 주장하면 그 집의 소유권은 결국 세입자의 것으로 임대인은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하는데 재산세 부과가 합당하느냐는 등의 논란도 불거져
- 부동산 학계, 법조계 사이에서도 비판 의견이 우세한 상항. 계약자유의 원칙 문제 등 법률적인 위헌 소지와 함께 심각한 재산권 침해 문제 등으로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가능성 지적
- link: https://bit.ly/2UHeWGF
40대 추월하나…청약 전선 밀린 ‘2030 세대’ 무서운 내 집마련
- 리얼투데이의 한국감정원의 자료 분석 결과, 올 1·4분기 전국 2030세대의 매매거래 건수는 67,578건으로 전체의 27.8%를 차지하며 40대 매매거래 건수(68,246건)에 근접, 50대 매매거래 건수(50,381건)보다 많아
- 지역별로는 2030세대가 4050세대보다 더 많은 매매거래 건수를 기록한 사례도 존재 [서울 147%, 인천 206% 등]
- 서울 등 수도권에서 공급되는 단지의 대부분 가점제가 적용되며 상대적으로 가점이 낮아 당첨 확률이 희박한 2030 세대가 기존 집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
- link: https://bit.ly/3hxCCXR
김현미 "돈 보다 근로자 안전 우선…건설현장 나쁜 관행 뿌리 뽑겠다"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천 화재 사고 및 건설사고 재발 방지 제도개선 토론회'에서 "비용과 시간이 안전보다 우선하는 관행을 뿌리 뽑아야 한다"며 건설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건설안전특별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밝혀
- 또한, "발주자부터 설계·시공·감리 등 건설사업의 주체별로 권한에 상응하는 안전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
- link: https://bit.ly/3dVMYyl
정부, 15일 6·15 20주년 기념식 축소 진행 결정
- 14일 통일부는 “현재의 남북상황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언급하며 정부는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식을 최대한 축소하기로 결정. 다만 구체적으로 행사를 어떻게 축소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아
- 앞서 4월 통일부는 올해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민간단체 등과 협력해 남북 간 교류와 공동 기념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나, 북측의 무응답으로 이번 기념행사는 우리 측이 자체적으로 기획
- link: https://bit.ly/2YykIvk
● 자동차 남정미(02-3770-5587)
현대차 팰리세이드·GV80 생산 이르면 16일 오후 재개될 듯(한국경제)
- 1차 협력사 덕양산업 산재사망사고로 울산공장 일부 생산라인 가동 중단. 12일 2직(오후 3시30분부터 조업)부터 휴업에 들어간 울산2공장 21라인(GV80·투싼)과 22라인(팰리세이드·싼타페), 울산 4공장 41라인(펠리세이드·그랜드스타렉스) 등 총 3개 생산라인은 15일에도 가동이 중단될 가능성이 큰 상황
- 덕양산업 가동이 중단된 라인에서 만드는 운전석 모듈은 펠리세이드와 제네시스 GV80 등 스포츠유틸리티차(SUV)에 들어가며 부피가 큰 탓에 완성차 공장 내에 충분한 재고를 확보하지 않고 재고 관리를 위해 운전석 모듈을 매일 덕양산업으로부터 공급받아 왔음
- 업계에선 16일 오후께나 고용부의 허가를 받아 덕양산업의 생산 재개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음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SK텔레콤, 7월 6일부터 2G 순차 종료...25년 만에 역사 뒤안길로(전자신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SK텔레콤의 기간통신사업 일부(2G) 폐지 신청에 대해 이용자 보호 조건을 부과해 승인
- 1996년부터 25년 동안 운영해 오면서 망 노후화와 장비 수리·이중화 불가 문제 등으로 2G망 유지보다 폐지가 이용자 보호에 적합하다고 판단
- KT에 이어 SK텔레콤이 2G를 종료하면 LG유플러스만 2G를 유지하게 되는데, LG유플러스는 애초 계획대로 2G를 유지한다는 방침
- link: https://bit.ly/2C79eY6
한화에너지, 美 하와이 태양광 수주 낭보(더구루)
- 한화에너지는 하와이 전력 회사(Hawaiian Electric)가 주관하는 '태양광·ESS 발전소 건설·운영 사업'입찰에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
- 한화에너지는 향후 하와이 오아후섬에 60㎿ 규모 태양광 발전과 ESS 배터리 용량 240MWh를 연계한 발전소를 짓게되며, 사업비는 공개되지 않음
- link: https://bit.ly/2Y23ffJ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네이버, 쇼핑검색광고 1.5배 확대 추진
- 14일 네이버에 따르면 오는 15일부터 22일까지 일주일간 PC·모바일 쇼핑검색 페이지에 노출되는 광고 개수를 기존 4~8개에서 6~12개로 늘리는 테스트를 진행한다.
- link : https://n.news.naver.com/article/031/0000542772
네이버 이어 카카오도 검색광고 확대 추진
- 카카오가 메신저앱 카카오톡의 검색광고 확대를 추진한다.
-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친구·채팅·샵·더보기 탭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광고주의 채널이 상단에 노출되는 ‘브랜드검색광고’ 도입을 준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 link :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538134
● 레저/미디어 박성호(02-3770-5657)
한국신문협회, “상반기 정부광고 조기·증액 집행해달라”(제주신보)
- 기사링크 : https://bit.ly/2UKvDkt
네이버 이어 카카오도 검색광고 확대 추진(조선)
- 카카오톡 친구·채팅·샵·더보기 탭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광고주의 채널이 상단에 노출되는 ‘브랜드검색광고’ 도입 준비
- 기사링크 : https://bit.ly/3e1bWfN
방탄소년단 '방방콘' 75만명 시청(연합)
- 유료이용권 구입(일반 3만 9천원·팬클럽 2만 9천원) 이후 생중계 시청방식으로 진행
- 공연말미 기준 시청인원 75만명
- 기사링크 : https://bit.ly/2zwIBef
(Comment) 공연 ATP 3.5만원 가정시 부대매출을 제외한 티켓매출만 263억원으로 추정. 코로나 종식후, 오프라인 콘서트와 병행시 온라인 콘서트는 아티스트의 시공간적 활동의 한계를 넘어서는 수익원으로 작용 가능할 듯
스트레이키즈, 정규앨범 ‘고생’ 선주문 20만장 돌파…자체 최고 경신(한국)
- 6월 17일 발매예정인 첫 정규앨범 선주문량 20만장 초과
(Comment) JYP의 2Q20 음반판매량 100만장 돌파 확실시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제주도 외국인 일일 입도 현황
- 2020년 5월 1일 ~ 31일 누적: 2,341명(yoy -98%, mom +134%)
- 2020년 6월 1일 ~ 13일 누적: 1,030명(yoy -98%, mom +28%)
: 최저 입도 인원 17명(4월 16일)
중국 주요 항공사별 일일 여객 수송 현황(동방항공 포함 총 15개 중국 항공사, 여객/도착 인원)
- 2020년 5월 1일 ~ 31일 누적: 5,134명(yoy -99%, mom +52%)
- 2020년 6월 1일 ~ 14일 누적: 3,193명(yoy -98%, mom +41%)
: 최저 입국 인원 0명(4월 2일)
(연합) '종식 초읽기' 중국 다시 위태…세계곳곳 코로나19 재유행 공포
- "베이징 지역사회 전파는 발원지 우한 초기사태와 유사"
- 인도·이란 '2차 파도' 뚜렷…터키·미국·한국도 덧날라 우려
- 전세계 하루 신규확진 증가세…5월말부터 매일 10만명 넘어
- link : https://bit.ly/2B3mM6u
- link : https://bit.ly/37x9xXU
(머니투데이) 中 면세 굴기 본격화…세계 1위 韓면세점 "어쩌나"
- 중국 재정부 中 최대 유통기업 왕푸징 그룹 면세사업 허가…코로나로 피해 본 소매업계 부활 위해 총력
- link : https://bit.ly/2MUTvxc
(브릿지경제) ‘후 따라잡자’…中서 온라인 마케팅 힘 주는 설화수
- link : https://bit.ly/2YN1LFp
(조선비즈) 코로나 경제 위기라는데 멈추지 않는 명품 판매
- 오픈런에 완판에… 명품에 빠진 소비자들
- 불황기 더 잘팔리는 명품… 이성 아닌 감성 소비
- 죽음을 느끼거나 우울해지면 명품 더 찾게 된다
- link : https://bit.ly/3e22Hfd
(뉴스1) 인천항 새 국제여객터미널 15일 개장…코로나 여파 '개점휴업' 우려
- 연간 220만명 수용, 착공 3년 6개월만에 개장
- link : https://bit.ly/2B4nNLq
(뷰티누리) 코로나 이후 중국 소액 모바일결제 급증
- link : https://bit.ly/37sBwI5
(뷰티누리) MZ세대 화장품 쇼핑, 오프라인 ‘테스트’ 온라인 ‘구매’
- link : https://bit.ly/2AyXk8T
유안타증권 투자정보 포털 -티레이더 인포
'주식분석실 > 일일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7 증시시황 (0) | 2020.06.17 |
---|---|
6-16 시황뉴스 (0) | 2020.06.16 |
일일 특징주-6.15 (0) | 2020.06.15 |
6월12미국증시마감 (0) | 2020.06.12 |
[2020년 06월 11일 (목)] (0) | 2020.06.11 |